안녕하세요 개발자 정씨입니다. 오늘은 저번시간에 생성한 VM에 node.js설치와 express 프로젝트를 설치하는 것까지 진행 해보겠습니다.
1. node.js 설치
'sudo apt-get install nodejs'를 통해 설치가 가능합니다.
설치한 node.js의 버전을 확인하는 'node -v'명령어를 통해 node.js가 정상적으로 설치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express 프로젝트 생성
Node.js의 모듈 설치 및 관리를 해주는 npm을 이용하여 express를 설치하고 이를 기반으로 express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프로젝트를 생성하기전에 npm은 무엇인지 express는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npm이란?
Node Packaged Manager의 줄임말로서 말그대로 Node.js의 pakage(module)을 관리해주는 툴입니다.
express란?
express는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일련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간결하고 유연한 Node.js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 당연히 nodejs의 패키지의 하나이며 가볍고 유연하게 웹 프레임웍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설치해보죠 우선 'sudo apt-get install npm'을 이용하여 npm을 설치해주세요
설치한 npm을 이용하여 express를 설치해봅시다. 명령어는 'sudo npm install -g express'입니다.
'sudo apt-get install node-express-generator'으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express 설치가 끝났다면 프로젝트를 생성해봅시다. 명령어는 'express (프로젝트명)'입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실행 해보죠 'npm install' 명령어를 입력하면, package.json에 리스팅된 실행을 위한 node package 항목들이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설치가 끝났다면 'npm start'를 이용하여 실행합니다.
이로서 node기반의 express 웹서버를 실행시켰습니다.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웹브라우저에 'http://localhost:3000'를 입력하고 접속하면 되는데, 아쉽게도 우분투에는 웹브라우저가 없습니다.
그래서 console 브라우저인 lynx를 설치하여 웹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새 터미널 창을 띄워주시고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접속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설치 : sudo apt-get install lynx
접속 : lynx http://localhost:3000 (이외에 원하는 주소를 입력하면 접속됩니다.)
이와같이 정상적으로 서버가 띄워져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정리해볼게요. 혹시나 궁금하신 부분있으시면 언제든 답글 남겨주세요 최대한 저도 알아보고 답변 드리겠습니당
'PlayRTC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yRTC 프로젝트 6 - 잠정적 중단 (0) | 2019.02.25 |
---|---|
PlayRTC 프로젝트 5 - PlayRTC샘플코드및 Nginx SSL적용 (0) | 2019.01.01 |
PlayRTC 프로젝트 4 - 도메인, dns, nginx를 이용한 리버스프록시 (1) | 2018.12.23 |
PlayRTC 프로젝트 2 -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VM 만들기 (1) | 2018.12.05 |
PlayRTC 프로젝트 1 - 프로젝트 계획 수립 (0) | 2018.12.05 |